Algorithm 정렬에 관하여
오늘은 정렬의 종류와 각 종류의 장단점에 대하여 알아보려한다.
여러가지 정렬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그리고 내가 알고 싶은 정렬에 대하여 알아보려한다.
선택 정렬(Selection Sort)
선택 정렬은 집합 내에서 가장 작은 수를 선택하고 교환하는 것을 반복하는 정렬이다.
처음 인덱스에서 제일 작은 수를 찾아 교환하게 된다. 그 이후 비교하는 수의 인덱스를 하나씩 늘려가며 작은 수를 찾는 것을 반복한다.
선택 정령은 구현이 쉬운 편에 속하며, 비교 횟수는 많지만 교환 횟수는 적기 때문에 많은 교환이 자료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삽입 정렬(Insertion Sort)
사진과 함께 이해하면 쉽다. 선택된 수와 그 수의 왼쪽과 비교하여 선택된 수보다 작은 수가 나올 때까지 정렬하는 방법이다.
버블 정렬(Bubble Sort)
버블 정렬은 선택된 값의 좌측 값이 선택된 값보다 크다면 교환하는 방법을 말한다. 좌측 값만 비교하면 되기 때문에 구현이 단순하다.
선택 정렬, 삽입 정렬, 버블 정렬 모두 O(N^2)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고 있다. 다만 실제로는, 선택 정렬이 버블 정렬보다 조금 더 빠르다. 또한, 삽입 정렬의 경우 최선의 경우엔 O(N)의 시간복잡도를 가져 굉장히 빠른 정렬 방법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다른 정렬 알고리즘의 일부로 사용되기도 한다.
쉘 정렬(Shell Sort)
쉘 정령은 선택 정렬과 개념이 같은데 차이가 있는 점은 쉘 정렬은 간격만큼 옆으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사진에서 보이듯 간격을 설정하고 그 간격의 크기를 줄여나가면서 정렬을 해나간다. 시간복잡도는 평균 O(N^1.5)이자만 최악의 경우O(N^2)의 시간복잡도를 가지게 된다.
퀵 정렬(Quick Sort)
퀵 정렬은 축 값을 지정하고 그 축의 촤측 처음 인덱스 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자신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비교하여 교환하고 우측 끝 인덱스 부터 왼 쪽으로 이동하며, 자신보다 작거나 같은 값을 비교하여 교환한다. 그 이후 사진에서 보이는 대로 left 인덱스가 right 인덱스보다 크다면 처음 배열을 분할한다. 배열이 분리되면 축 값을 다시 잡고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정렬한다. 시간 복잡도에서는 보통 O(NlogN)으로 실행 시간이 준수한 편이지만, 축값에 따라서 시간복잡도가 크게 달라지며, 최악(역순)일 경우 O(N^2)의 시간 복잡 도를 가지기 때문에 축 값을 잘 지정하는 것이 좋다.
병합 정렬(Merge Sort)
병합 정렬은 분할할 부분의 값을 정하고 그 부분을 기준으로 최소 단위까지 나누어 병합시에 각 부분을 순차 비교 후 임시 배열에 삽입하고, 원래 배열에 임시 배열을 넣어준다. 이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병합 정렬이다. 퀵 정렬과 비슷하게 원래 배열을 나누어 정렬하는 정렬 법이다. 그렇기 때문에 분할하는 과정에서 logN만큼의 시간이 걸리고 결국 O(Nlog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게 된다. 다만, 퀵 정렬과 달리 분할해줘야 하는 기준점 설정없이 절반으로 나누어 분할하기 때문에 기준점에 따라 시간이 증가하거나 줄어들지 않는다. 따라서 항상 같은 시간복잡도를 가지게 되고 안정성이 있기 때문에, 정렬법들중 준수한 정렬 법이다. 하지만, 분할하여 임시배열에 배열을 분할된 배열을 저장하다보니, 추가적인 메모리가 필요하고, 이를 기준으로 퀵을 써야할지 병합을 써야할지 기준을 정하면 된다.
힙 정렬(Heap Sort)
힙정렬은 힙알고리즘을 기본으로 짜여진 정렬이다. 그렇다면 루트 노드에는 항상 제일 우선순위인 값이 삽입되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 루트를 출력하고 힙에서 제거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정렬하는 방법이다. 힙 정렬은 추가적인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O(NlogN)의 시간 복잡도를 보여준다.
출처: https://namu.wiki/w/%EC%A0%95%EB%A0%AC%20%EC%95%8C%EA%B3%A0%EB%A6%AC%EC%A6%98
출처: https://yabmoons.tistory.com/250 [얍문’s Coding World..]
출처: https://roka88.dev/98 [이병록의 개발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