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 Hash에 관하여
오늘은 Hash에 대하여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주 언어가 Java이다보니 HashMap은 많이 써보았지만, 정확하게 정리를 해본적은 없는 듯하여 정리를 해보려한다.
내가 알고 있던 Hash에선 키와 값이 있으며, 키를 인덱스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간복잡도가 O(1)이라는 것.
1 해시
- 해시는 임의의 크기를 가진 데이터를 고정된 데이터 크기로 변화시키는 것을 말하며,
- 해시함수를 사용하여 값을 계산하여 나온 고정된 길이의 값을 해시값이라고 부른다.
- 여러 분야에 사용되며, 복잡하지 않은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져 CPU,메모리 등 시스템 자원을 덜 소모한다고 한다.
- 여러분야 사용되고 여러가지(MDn, SHA-n 등) 해시 알고리즘이 있지만(자세하게 다룰일이 있으면 추가해야지)
2 해시 충돌
해시 충돌은 해시함수를 거친 키값이 같은 값들. 즉, 다른 데이터의 키 값(해시값)들이 동일할 경우 해시 충돌이 발생한다. 이 충돌은 해시 테이블의 성능을 떨어뜨린다. 해시 충돌을 방지하려면 해시 함수를 잘 정의하면 된다. 하지만 해시함수의 입력값은 무한하지만, 출력값의 가짓수는 유한(출력값, 즉 키가 유한하지 않다면 해시기법을 사용하는 의미가 없다.)하므로 해시 충돌은 반드시 발생한다.(비둘기집 원리)
이러한 해시충돌을 방지할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 체이닝(Chaining) 버킷내에 LinkedList를 할당하여, Bucket에 데이터를 저장하다가 해시 충돌이 발생하면 연결리스트로 데이터를 연결하는 방식이다.
개방 주소법(Open Addressing) 해시 충돌이 발생하면 다른 Bucket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식이다. 체이닝은 주소값은 동일한 상태로 LinkedList를 이용하여 늘려가기 때문에, 주소값이 변경되지는 않는다는 부분과 차이가 있다.
3가지 개방 주소법
- 선형 탐색
</b>: 해시 충돌 시 다음 버킷 혹은 몇개를 건너뛰어 데이터를 삽입 - 제곱 탐색
</b>: 해시 충돌 시 제곱만큼 건너뛴 버켓에 데이터를 삽입 - 이중 해시
</b>: 해시 충돌 시 다른 해시 함수를 한 번 더 적용한 결과를 이용
해시를 이용한 자료구조
해시를 이용한 자료구조엔 HashMap, HashTable이 있다. 둘의 차이는 동기화 지원이 가능하냐 안하냐의 차이(synchronized)가 있다고 한다.
해시 자료구조의 시간 복잡도
해시함수로 만들어진 키값들은 고유한 인덱스를 가지게 되어 바로 접근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평균 O(1)의 시간복잡도를 가지고 있지만,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경우 Chaining에 연결된 리스트들까지 검색해야 하므로 O(N)까지 시간복잡도가 증가할 수 있다.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들은 데이터의 규칙성(클러스터링)을 방지하기 위한 방식이지만 공간을 많이 사용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만약 테이블이 꽉 차있는 경우라면 테이블을 확장해주어야 하는데, 이는 매우 심각한 성능의 저하를 불러오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확장을 하지 않도록 테이블을 설계해주어야 한다.
(통계적으로 해시 테이블의 공간 사용률이 70% ~ 80%정도가 되면 해시의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되기 시작한다고 한다.)
또한 해시 테이블에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데이터를 Cache에 적용하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자주 hit하게 되는 데이터를 캐시에서 바로 찾음으로써 해시 테이블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출처 https://mangkyu.tistory.com/102 [MangKyu’s Diary] https://preamtree.tistory.com/20 [Preamtree의 행복로그]
.startsWith();
.toLowerCase();
.toUpperCase();
.toCharArray();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ch[i]);
.sort();
.subString
PriorityQueue
//int형 priorityQueue 선언 (우선순위가 높은 숫자 순)
PriorityQueue
Queue
Stack
Map<String, Integer> map = new HashMap<>();
Set
import java.util.*